728x90 전체 글99 배수 공법 비교 (중력배수, 강제배수, 영구배수) 배수공법 비교: 중력배수, 강제배수, 영구배수배수공법은 지반 내 존재하는 지하수나 빗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지반을 안정화하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공정입니다. 크게 중력배수, 강제배수, 영구배수로 나뉩니다. 1. 중력배수 (Gravity Drainage)📌 개념중력(자연적인 경사)을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는 방식지하수나 빗물이 낮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유도📌 특징배수시설을 설치하여 물이 중력에 의해 흐르도록 함전력이나 기계 장비가 필요하지 않음유지보수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 대표적인 방식모래층 배수: 모래나 자갈층을 설치하여 자연스럽게 물이 빠지도록 유도배수로(측구, 집수정): 구조물 주변에 배수로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자연스럽게 배출프렌치 드레인(French Drai.. 2025. 3. 20. 지반조사방법 중 "보링"과 "사운딩"의 차이점 보링(Boring)과 사운딩(Sounding)은 지반조사 방법 중 하나로,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 방법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1. 보링(Boring)개념: 드릴 장비를 이용하여 지중에 구멍(보어홀)을 뚫고, 토사 및 암석 샘플을 채취하여 지층을 분석하는 방법목적: 지층 구성, 지하수 상태, 암반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장비: 오거(Auger), 로터리 드릴, 충격 드릴 등대표적인 보링 방법: 장점: 단점: 2. 사운딩(Sounding)개념: 지반에 관을 삽입하거나 하중을 가하여 저항 값을 측정함으로써 지반의 강도를 파악하는 방법목적: 지반의 상대적인 강도, 지지력, 연약층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장비: 표준관입시험(SPT) 장비, 베인시험(VST) 장비 등대표적인 사.. 2025. 3. 20. 건설 직종별 (노가다) 일당 비교 건설 현장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업무(타일, 조적, 목수 등)의 일당은 지역, 경력, 프로젝트 규모, 시기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건설 직종별 일당을 비교한 예시입니다.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실제 금액은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요 건설 직종별 일당 비교 (예시)직종평균 일당 (원)주요 업무 내용타일공180,000 ~ 220,000건물 내·외부의 타일 시공 및 마감 작업조적공170,000 ~ 210,000벽돌, 블록 등을 쌓아 구조물 형성목수190,000 ~ 230,000건축물의 골조, 내부 마감 목재 작업철근공180,000 ~ 220,000철근 배근 및 조립 작업형틀목공190,000 ~ 230,000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제작 및 설치미장공.. 2025. 3. 18. 덤핑 수주(Dumping Bidding)란? 덤핑 수주(Dumping Bidding)란?덤핑 수주는 입찰에서 경쟁자를 제치기 위해 원가 이하의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여 계약을 따내는 행위를 의미한다.주로 최저가 낙찰제가 적용되는 입찰에서 발생하며, 단기적으로는 수주를 확보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실 시공, 재정 악화, 시장 질서 왜곡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덤핑 수주의 특징시장 가격보다 비정상적으로 낮은 가격 제시단기적인 계약 확보 목적장기적 문제 발생 가능성 🔹 덤핑 수주의 장점 (기업 입장)✅ 단기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 경쟁사를 제치고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음✅ 신규 거래처 확보 가능 – 낮은 가격을 무기로 새로운 고객사를 유치할 수 있음✅ 설비 가동률 유지 – 일정 수준 이상의 생산량을 유지하여 가동 중단을 방지할 수.. 2025. 3. 18. 건설 공사에서 "낙찰제도" 종류와 특징 건설 공사에서 낙찰제도는 입찰을 통해 계약 상대자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기준과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주요 낙찰제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1. 최저가 낙찰제입찰에 참여한 업체 중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업체가 낙찰되는 방식.공사, 물품 구매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정부 및 공공기관 입찰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됨.장점: 예산 절감 가능.단점: 저가 경쟁으로 품질 저하 가능성이 있음.2. 적격심사제최저가 입찰 방식과 함께 업체의 기술력, 신용도, 수행 능력 등을 평가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 방식.일정 기준 이상의 점수를 충족하는 업체 중 최저가를 제시한 업체가 낙찰됨.장점: 저가 경쟁으로 인한 부실 공사를 방지할 수 있음.단점: 평가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면 공정성 논란이 발생할 수 있음.3. 종.. 2025. 3. 18. 건물 짓기 좋은 땅 고르는 팁s! 건물 짓기 좋은 땅 고르는 팁!건물을 짓기 위해 땅을 고를 때는 단순히 위치만 볼 게 아니라, 임장에서 법규, 지반, 인프라, 향후 가치까지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래 8가지 핵심 포인트를 체크하면 실패 없이 좋은 땅을 고를 수 있다.✅ 1. 용도지역 및 건축 법규 확인땅을 샀는데 건물 짓기 어려운 땅이면 낭패! 먼저 용도지역을 확인하자.국토계획법에 따른 용도지역주거지역 → 단독주택, 아파트 등 가능상업지역 → 상가, 오피스 건축 가능 (건폐율·용적률 높음)공업지역 → 공장 건축 가능녹지지역, 농림지역 → 건축 제한 있음 ️✅ 건폐율·용적률 확인 → 얼마나 큰 건물을 지을 수 있는지 결정✅ 도로 접면 → 폭 4m 이상 도로에 접해야 건축 허가 가능확인 방법: 국토교통부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 2025. 3. 18. 내단열 vs. 외단열 비교 (장단점) 내단열 vs. 외단열 비교건축물의 단열 방식에는 크게 내단열과 외단열 방식이 있다. 오늘은 각각의 단열 방법에 대한 특징, 장점, 단점을 비교해 보려고한다. ✅ 1. 내단열 (Internal Insulation)👉 건물 내부에서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식🔹 특징단열재를 벽체(내부 벽면) 안쪽에 부착하는 방식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된 단열 방식주로 경량 단열재(스티로폼, 글라스울, 미네랄울 등)를 사용🔹 장점✔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저렴 → 외부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 공사 속도가 빠름 → 외부 작업이 필요 없어 날씨 영향을 덜 받음✔ 리모델링, 개보수에 유리 → 기존 건물에도 쉽게 적용 가능🔹 단점❌ 단열 성능이 낮음 → 열교(Heat Bridge)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2025. 3. 18. 국내 기술사 vs. 미국 기술사 자격증 비교 국내 기술사 vs. 미국 기술사 자격증 비교기술사는 특정 분야의 최고 수준의 전문 엔지니어 자격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이다. 오늘은 국내와 미국의 기술사 제도를 비교해 보자! ✅ 1. 국내 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Korea, P.E.K)🔹 운영 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HRDK)🔹 관련 법령: 「국가기술자격법」🔹 주요 역할:전문적인 엔지니어링 기술을 보유한 최고 수준의 기술 전문가엔지니어링 설계, 감리, 인증, 기술 연구 등 수행기술사법인 설립 및 기술 지도 가능✅ 국내 기술사 응시 자격✔ 기술사 시험 응시 조건:관련 전공 졸업 + 실무 경력 필요대졸: 4년 경력 필요전문대 졸업: 6년 경력 필요고졸: 9년 경력 필요✔ 시험 과목: 필기(논술형) + 면접✔ 합격률: 약 5~10.. 2025. 3. 17. 윈드칼럼(Wind Column)이란? 윈드칼럼(Wind Column)이란?윈드칼럼(Wind Column)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서 바람(Wind)에 의한 수평 하중을 지지하고 저항하기 위해 설치하는 기둥(칼럼, Column)을 말한다.일반적으로 외벽(벽체)이나 개구부(창, 문 등)가 넓은 건물에서 바람에 의한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강재(철강)나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윈드칼럼의 역할1️⃣ 바람에 의한 횡력(수평력) 저항→ 특히 고층 건물, 창문이 많은 건물, 개방형 구조물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2️⃣ 구조물의 안정성 향상→ 바람, 지진 등의 횡하중(수평 하중)에 의해 건물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3️⃣ 외벽이나 개구부(창, 문) 보강→ 넓은 유리창이나 개방형 구조가 많은 건축물에서 프레임을 보강하여 .. 2025. 3. 17.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