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

국내 기술사 vs. 미국 기술사 자격증 비교

by 뺑끼민 2025. 3. 17.
728x90
반응형

국내 기술사 vs. 미국 기술사 자격증 비교

기술사는 특정 분야의 최고 수준의 전문 엔지니어 자격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이다. 오늘은 국내와 미국의 기술사 제도를 비교해 보자!

 

1. 국내 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Korea, P.E.K)

🔹 운영 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HRDK)
🔹 관련 법령: 「국가기술자격법」
🔹 주요 역할:

  • 전문적인 엔지니어링 기술을 보유한 최고 수준의 기술 전문가
  • 엔지니어링 설계, 감리, 인증, 기술 연구 등 수행
  • 기술사법인 설립 및 기술 지도 가능

국내 기술사 응시 자격

기술사 시험 응시 조건:

  • 관련 전공 졸업 + 실무 경력 필요
  • 대졸: 4년 경력 필요
  • 전문대 졸업: 6년 경력 필요
  • 고졸: 9년 경력 필요
    시험 과목: 필기(논술형) + 면접
    합격률:5~10% (매우 어려움)

국내 기술사의 특징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엔지니어 최고 등급
실무 경력이 반드시 필요함
설계·감리·기술 지도 등 고급 엔지니어 업무 가능
공기업 및 대기업에서 우대

 

2. 미국 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P.E.)

🔹 운영 기관: NCEES (National Council of Examiners for Engineering and Surveying)
🔹 관련 법령: 미국 주별 엔지니어링 관련 법률
🔹 주요 역할:

  • 공공 안전과 관련된 엔지니어링 설계 및 검토 업무 수행
  • 특정 주에서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 및 서명 가능
  • 미국에서 엔지니어로 활동하는 필수 자격 중 하나

미국 P.E. 응시 자격

FE (Fundamentals of Engineering, 기초 엔지니어링 시험) 합격
ABET 인증 대학 졸업 (또는 동등 학력 인정)
4년 이상의 실무 경험 필요 (EIT 과정 필수)
P.E. 시험(전공별) 합격 후 주정부 면허 취득

미국 기술사의 특징

주별 면허 제도 (각 주마다 P.E. 등록 필요)
FE → EIT → P.E. 순서로 자격 취득
정부 인가된 프로젝트(설계, 감리 등)에 서명 가능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엔지니어링 자격

 

국내 기술사 vs. 미국 P.E. 비교 정리

구분 국내 기술사 (P.E.K) 미국 기술사 (P.E.)
운영 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HRDK) NCEES (미국 각 주)
응시 자격 실무 경력 (최소 4~9년) 필요 FE 시험 + 4년 경력 필요
시험 구조 필기(논술) + 면접 FE → EIT → PE 시험
난이도 합격률 5~10% (매우 어려움) 합격률 약 50% (상대적으로 쉬움)
자격증 인정 범위 한국 내에서만 유효 미국 내 주별로 인정 (국제적 활용 가능)
주요 업무 설계, 감리, 기술 지도, 법인 설립 가능 설계, 감리, 법적 엔지니어링 서명 가능
활용 분야 건설, 기계, 전기, 화공 등 다양한 분야 건설, 기계, 전기, 구조 등 엔지니어링 분야

 

결론: 어떤 자격증이 더 좋을까?

국내에서 활동하려면?국내 기술사 (P.E.K)
미국에서 엔지니어로 일하고 싶다면?미국 P.E.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싶다면?미국 P.E.가 유리
설계/감리 업무를 전문적으로 하고 싶다면?둘 다 유용하지만, 국내는 기술사가 필수적인 경우 많음

 

💡 참고:

  • 미국 P.E.는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자격이라 해외 취업 시 유리함
  • 국내 기술사는 국내 엔지니어링 업계에서 최고 권위의 자격증
  • 국내 기술사(P.E.K.)를 취득한 후, 미국 P.E.도 따는 경우가 있음

미국 P.E. 자격 유지 비용 (연회비 & 갱신 비용)

1️⃣ 주마다 다름 → 미국의 P.E. 자격은 주별 면허제도이므로, 각 주마다 연회비와 갱신 규정이 다름
2️⃣ 평균 비용 → 일반적으로 $50~$300 정도 (주마다 차이 있음)
3️⃣ 갱신 주기 → 대부분 1년 또는 2~3년마다 갱신 필요
4️⃣ CEU/PDU 필요 → 일부 주에서는 **계속 교육(Continuing Education, CEU or PDH)**을 이수해야 갱신 가능

 

728x90
반응형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 직종별 (노가다) 일당 비교  (0) 2025.03.18
내단열 vs. 외단열 비교 (장단점)  (0) 2025.03.18
윈드칼럼(Wind Column)이란?  (0) 2025.03.17
SFRC vs. MFRC 공사 비교  (0) 2025.03.17
콘크리트 하자 보수 방법  (0)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