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센터 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SFRC vs. MFRC 공사 차이점
SFRC(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와 MFRC(합성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섬유를 보강하는 공법이야. 두 방식 모두 균열 저항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지만, 사용되는 섬유 종류와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
🔹 SFRC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SFRC는 **강섬유(Steel Fiber)**를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보강하는 방식이다.
✅ 특징
✔ 높은 인장 강도 & 균열 저항성 → 강섬유가 철근과 유사한 역할을 해서 균열 발생을 억제함.
✔ 충격 저항성 우수 → 공장 바닥, 교량, 터널 등 충격을 많이 받는 구조물에 적합.
✔ 내마모성, 내구성 증가 → 마찰이나 외부 환경에 강함.
✔ 자기 성질 보유 → 전자기 환경에서는 주의가 필요함.
✅ 주로 사용되는 곳
🏗 산업용 바닥 (공장, 물류센터 등) → 지게차, 중장비 등이 이동하는 바닥에 적용.
🏗 터널, 교량, 항만 구조물 →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에 사용.
🏗 도로 포장, 활주로 → 차량이나 항공기의 하중을 견디는 곳에 적합.
🔹 MFRC (Macro Fiber Reinforced Concrete, 합성섬유 보강 콘크리트)
MFRC는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합성섬유(Macro Fiber)**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저항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 특징
✔ 부식되지 않음 → 합성섬유는 녹이 슬지 않아서 내구성이 뛰어남.
✔ 경량화 가능 → 강섬유보다 가벼워서 구조물 하중을 줄일 수 있음.
✔ 인성이 뛰어남 →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좋아 내진 성능 향상 효과도 있음.
✔ 비자성, 비전도성 → 전자기장 영향을 받지 않음.
✅ 주로 사용되는 곳
🏗 콘크리트 도로, 터널 라이닝 → 균열 억제 및 내구성 강화 목적.
🏗 경량 콘크리트 구조물 → 무게를 줄여야 하는 곳에 적합.
🏗 주차장 바닥, 골조 보강 → 바닥면 균열 방지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효과.
🔹 SFRC vs. MFRC 비교 정리
구분 | SFRC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 MFRC (합성섬유 보강 콘크리트) |
섬유 종류 | 강섬유(Steel Fiber) | 합성섬유(Macro Fiber, PP 등) |
인장강도 | 🔥 매우 높음 | 🔹 상대적으로 낮음 |
내마모성 | ✅ 우수 | ✅ 양호 |
균열 저항성 | ✅ 우수 | ✅ 우수 (특히 미세균열 방지 효과) |
부식 가능성 | ⚠ 강섬유는 녹이 슬 수 있음 | ❌ 부식되지 않음 |
비중(무게) | 🚧 무거움 | 🏗 가벼움 |
자기장 영향 | ⚠ 전자기장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 비자성, 전자기장 영향 없음 |
주요 사용처 | 산업용 바닥, 터널, 교량, 활주로 | 콘크리트 도로, 주차장, 경량 구조물 |
🔹 결론!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
✔ 강한 하중 & 충격 저항이 필요한 경우? → SFRC (공장 바닥, 터널, 교량, 활주로)
✔ 부식 없이 가볍고 유지보수가 쉬운 재료가 필요한 경우? → MFRC (도로, 주차장, 경량 구조물)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기술사 vs. 미국 기술사 자격증 비교 (0) | 2025.03.17 |
---|---|
윈드칼럼(Wind Column)이란? (0) | 2025.03.17 |
콘크리트 하자 보수 방법 (0) | 2025.03.16 |
SOC(Social Overhead Capital) 사업이란? (0) | 2025.03.15 |
콘크리트 타설 장비 및 유의사항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