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

콘크리트 타설 장비 및 유의사항

by 뺑끼민 2025. 3. 14.
728x90
반응형

1. 콘크리트 현장 타설 작업 관련 장비 종류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는 혼합, 운반, 타설, 다짐, 마무리 작업 등을 위한 다양한 장비가 사용됩니다.

콘크리트 타설 작업

📌 주요 장비 종류 및 역할

장비 유형 장비 이름 설명 및 역할
콘크리트 배합 장비 레미콘 플랜트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배출
운반 장비 레미콘 트럭 (트럭 믹서) 공장에서 혼합된 콘크리트를 현장까지 운반
  덤프 트럭 대량의 콘크리트를 운반 (현장 내 이동 시)
타설 장비 콘크리트 펌프카 콘크리트를 고층 또는 먼 거리까지 압송
  콘크리트 버킷 (호이스트용, 크레인용) 크레인이나 타워크레인에 매달아 콘크리트 타설
  슈트 (Chute) 레미콘에서 콘크리트를 흘려보내는 경사 통로
다짐 장비 내부 진동기 (바이브레이터) 콘크리트 내부 공기를 제거하고 밀실하게 다짐
  외부 진동기 거푸집에 부착하여 다짐 효과를 줌
표면 정리 장비 트로웰 (Trowel, 미장기)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장비
  스크리드 (Screed) 콘크리트 표면을 평탄하게 정리
  불록기 (Bull Float)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 표면을 정리
양생 장비 양생 덮개 (방수포, 비닐 등) 양생 중 수분 증발 방지
  양생제 살포기 콘크리트 표면에 양생제를 도포
  스팀 양생기 온도를 높여 조기 강도를 발현

 

📌 콘크리트 타설 공정별 사용 장비

🔹 1. 콘크리트 배합 및 운반
레미콘 플랜트레미콘 트럭덤프 트럭(현장 내 이동 시)

🔹 2. 콘크리트 타설
펌프카(고층 및 먼 거리), 버킷(크레인 활용), 슈트(경사면 이용)

🔹 3. 다짐 작업
내부 진동기(철근 구조물 내부 다짐), 외부 진동기(거푸집 다짐)

🔹 4. 마무리 작업 (평탄화 및 정리)
스크리드(1차 정리)불록기(2차 정리)트로웰(마감 처리)

🔹 5. 양생 및 보호
양생제 살포기(수분 유지)방수포·비닐 덮개(보호 양생)스팀 양생기(조기 강도 발현 필요 시)

 

📌 결론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는 혼합, 운반, 타설, 다짐, 정리, 양생 등 단계별로 다양한 장비가 사용됩니다. 특히 펌프카, 진동기, 트로웰 등은 필수적인 장비이며, 양생 관리까지 철저히 수행해야 균열 없이 강도가 확보된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2. 콘크리트 타설 시 주의사항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타설 중에는 균열 방지, 다짐, 온도 관리, 양생 등을 철저히 신경 써야 합니다.

펌프카 작업

📌 1. 타설 전 주의사항

거푸집 및 철근 점검

  • 거푸집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확인
  • 철근이 설계대로 배근되었는지 확인
  • 철근 및 거푸집 내 이물질(흙, 나무 조각 등) 제거

콘크리트 품질 점검

  • 슬럼프(유동성) 및 공기량 검사 후 타설
  • 물 추가 금지 (물-시멘트 비 변화로 강도 저하)
  • 콘크리트 운반 중 시간 초과(90분 이내 타설) 방지

장비 및 인력 준비

  • 펌프카, 레미콘, 진동기(바이브레이터), 미장 장비 준비
  • 작업자 간 역할 및 신호 체계 사전 정리

 

📌 2. 타설 중 주의사항

균일한 타설 진행

  • 한 층(Layer)당 30~50cm 이내로 나누어 타설
  • 너무 많은 양을 한 번에 타설하면 균열 발생

다짐(진동) 작업 철저

  • 내부 진동기를 이용해 콘크리트 속 공기 제거
  • 진동기 삽입 간격은 약 50cm 이하로 유지
  • 진동기 사용 시 너무 오래 사용하면(과다 다짐) 골재 분리 현상 발생

연속적인 타설 유지

  • 중간에 타설이 중단되면 콜드 조인트(Cold Joint) 발생
  • 만약 중단될 경우 이음면 거칠게 처리 후 재타설

거푸집 변형 및 누수 확인

  • 거푸집이 터지거나 틈새로 콘크리트가 새는지 점검
  • 누수가 발생하면 즉시 보강

타설 속도 조절

  • 너무 빠르게 타설하면 다짐 불량 및 거푸집 파괴 위험
  • 너무 느리면 작업 효율 저하 및 조기 경화 문제 발생

 

📌 3. 타설 후 주의사항 (양생 및 보호)

표면 정리 및 마감

  • 트로웰(Trowel) 또는 스크리드를 사용하여 평탄화
  • 골재 분리(블리딩) 발생 시 표면 정리

균열 방지 조치

  • 급격한 건조 방지를 위해 양생제 도포
  • 비닐, 습포(젖은 천) 덮개, 살수(물 뿌리기) 등으로 수분 유지

적정 온도 유지 (온도 관리 필수!)

  • 여름철: 직사광선 차단, 살수 양생
  • 겨울철: 동해(얼어 터짐) 방지를 위해 보온재 덮기, 온풍기 사용

충분한 양생 기간 확보

  • 일반적으로 최소 7일~28일 양생 필요
  • 조기 강도 확보가 필요한 경우 증기 양생 적용 가능

 

📌 결론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타설 전 준비 → 타설 중 주의 → 타설 후 양생까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다짐 불량, 균열 발생, 콜드 조인트, 거푸집 변형 등을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점검이 중요합니다.
품질 좋은 콘크리트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타설과 철저한 양생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