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알칼리-골재 반응 (Alkali-Aggregate Reaction, AAR)
1. 개요
콘크리트 알칼리-골재 반응(Alkali-Aggregate Reaction, AAR)은 콘크리트의 시멘트와 골재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반응은 알칼리 성분이 포함된 시멘트와 실리카 성분을 포함하는 골재가 반응하여 팽창 및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장기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2. 알칼리-골재 반응의 원리
AAR은 두 가지 주요 반응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알칼리-실리카 반응(ASR, Alkali-Silica Reaction)
- 알칼리-탄산염 반응(ACR, Alkali-Carbonate Reaction)
3. 알칼리-골재 반응의 조건
AAR이 일어나기 위한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알칼리 농도: 시멘트에 포함된 NaOH, KOH 등의 알칼리 성분이 반응을 촉진한다.
- 골재 성분: 실리카 성분이 많은 규사나 석영이 포함된 골재가 주로 영향을 받는다.
- 수분: 충분한 수분이 존재해야 알칼리-실리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젤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다.
- 온도: 높은 온도에서 반응이 더 빨리 일어나므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이 반응이 심각해질 수 있다.
4. 알칼리-골재 반응의 영향
- 균열 발생
- 내구성 감소
- 지속적인 팽창
- 구조적 문제
5. 알칼리-골재 반응의 예방 및 해결 방법
- 저알칼리성 시멘트 사용
- 비반응성 골재 사용
- 반응 억제제 사용
- 콘크리트의 습도 관리
- 시험 및 평가
6. 결론
알칼리-골재 반응(AAR)은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학적 반응이다.
이에 대한 예방책으로는 적절한 시멘트와 골재 선택, 반응 억제제 사용, 수분 관리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장기적인 구조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백화 현상(White Efflorescence)
1. 개요
백화 현상(White Efflorescence)은 콘크리트, 벽돌, 석재 등의 표면에 하얀 색의 얼룩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주로 염분이 수분과 함께 표면에 나타나면서 발생하는데, 염분이 물에 용해되어 기화되면서 표면에 고체 염이 남게 되는 과정이다.
2. 백화 현상의 원리
백화 현상은 수분과 용해된 염분(주로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황산염 등)이 콘크리트나 벽돌 등의 표면에 나와 공기 중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한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수분 흡수: 건물의 벽이나 바닥이 물에 노출되면, 기존의 염분(주로 시멘트 내, 벽돌, 석재 등에 포함된 염화물이나 황산염 등)을 흡수하게 된다.
- 염분 용해: 수분이 염분을 용해시키고, 그 용액이 콘크리트나 벽돌 내부로 침투한다.
- 기화와 결정화: 수분이 증발하면서 용해된 염이 표면에 고체로 결정화되어 하얀 얼룩을 형성한다.
3. 백화 현상의 주요 원인
- 습기: 습도나 비, 물의 침투로 인한 과도한 수분이 표면에 존재할 때 발생한다.
- 염분: 콘크리트, 벽돌, 석재 등이 염화칼슘(겨울철 도로 제설제), 염화나트륨, 황산염 등 염분을 포함하고 있을 때, 수분과 결합하여 백화 현상이 나타난다.
- 시멘트 재료: 고알칼리성 시멘트나 미세한 골재를 사용할 때 염분이 더 쉽게 흡수될 수 있다.
- 외부 환경: 비가 자주 오거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백화가 더 잘 발생한다.
4. 백화 현상의 문제점
- 미관 저하: 백화 현상은 주로 외관에 나타나므로 미관상 좋지 않다.
- 표면 손상: 염분이 지속적으로 침투하고 결정화되면 표면이 거칠어지고, 기계적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 구조적 문제: 수분과 염분이 지속적으로 침투하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장기적으로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5. 백화 현상의 예방 및 해결 방법
- 배수 시스템 개선
- 방수 코팅
- 적절한 재료 사용
- 건조 및 환기
- 세척
- 염분 제거
6. 결론
백화 현상은 주로 수분과 염분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미관상의 문제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콘크리트나 벽돌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적절한 배수 관리, 방수 처리, 건조 환경 유지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발생 후에는 세척 등을 통해 제거가 가능하다.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C(Social Overhead Capital) 사업이란? (0) | 2025.03.15 |
---|---|
콘크리트 타설 장비 및 유의사항 (0) | 2025.03.14 |
팽윤 현상(Swelling Phenomenon)란? (0) | 2025.03.13 |
사이포닉 현상(Siphonic Effect)란? (0) | 2025.03.13 |
"접지 공사 (Earthing)" 이란?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