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 공사(Earthing/Grounding Work)란?
1. 개요
접지 공사는 전기 설비에서 누설 전류나 낙뢰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땅)로 방출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사람과 장비를 보호하고, 전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된다.
2. 접지 공사의 목적
✅ 감전 사고 방지 → 전기 누설 시 전류가 땅으로 흐르도록 유도
✅ 설비 보호 → 전기 장비의 손상을 예방
✅ 낙뢰 보호 → 뇌격 전류를 대지로 방전하여 피해 최소화
✅ 정전기 방지 → 정전기를 안전하게 방출하여 폭발 위험 감소
3. 접지 공사의 종류
접지 공사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종류 | 설명 | 적용 사례 |
제1종 접지공사 | 접지 저항을 10Ω 이하로 낮춰 강한 전류를 안전하게 방출 | 변압기, 발전기, 대형 전기 설비 |
제2종 접지공사 | 접지 저항 150Ω 이하, 감전 예방 목적 | 옥내 전기 배선, 전기기기 보호 |
제3종 접지공사 | 비교적 높은 저항(100Ω 이하) 허용, 정전기 방출 목적 | 가로등, 전자기기 |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저전압 기기 보호를 위한 접지 (10Ω 이하) | 병원, 정보통신 설비 |
피뢰 접지공사 | 낙뢰를 안전하게 대지로 유도 | 고층 건물, 송전탑 |
4. 접지 공사 방법
✔ 접지극(전극) 매설 방식
- 수직 매설 : 도체봉(구리봉, 철봉 등)을 땅에 수직으로 박아 접지
- 수평 매설 : 전선(구리선 등)을 땅에 일정 깊이로 묻어 접지
- 매쉬형 접지(그리드 방식) : 철망 형태의 전극을 땅에 설치하여 접지 성능 향상
✔ 접지 저항 감소 방법
- 깊이 매설하거나 접지극 개수를 늘림
- 접지 보조제(벤토나이트, 염화나트륨 등) 사용
- 접지선을 길게 설치하여 저항값 낮춤
5. 접지 공사의 주요 기준 (한국 전기설비 규정)
- 접지 저항 : 설비에 따라 10Ω~150Ω 이내 유지
- 도체 재질 : 동선(구리), 아연 도금 철선 사용
- 접지선 두께 : 최소 2.6mm² 이상의 전선 사용
- 설치 깊이 : 일반적으로 0.5m~1.5m 이상
6. 접지 불량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감전 사고 : 누설 전류가 대지로 흘러가지 못해 사람이 감전될 위험
🚨 전기 화재 : 누설 전류가 쌓이면 과열되어 화재 발생 가능
🚨 설비 오작동 : 정전기 축적 및 전기적 노이즈로 인해 전자기기 오류 발생
🚨 낙뢰 피해 : 접지 미흡 시 건물 및 장비 손상 위험 증가
7. 접지 공사의 활용 분야
🔹 건축물(아파트, 빌딩) : 전기 안전 및 감전 방지
🔹 산업 설비 : 공장 기계 보호 및 정전기 방출
🔹 병원·데이터센터 : 전자기기 보호 및 신뢰성 확보
🔹 전력망·통신시설 : 낙뢰 보호 및 신호 안정화
8. 결론
접지 공사는 전기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으로, 감전 방지, 설비 보호, 낙뢰 대책 등의 역할을 한다.
설비 및 환경에 맞는 적절한 접지 방법을 선택하여, 전기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팽윤 현상(Swelling Phenomenon)란? (0) | 2025.03.13 |
---|---|
사이포닉 현상(Siphonic Effect)란? (0) | 2025.03.13 |
슬러리 월 공법 (Slurry Wall) (0) | 2025.03.13 |
건설 현장 용어 (노가다 용어) (0) | 2025.02.16 |
콘크리트 하자 (블리딩 & 레이턴스)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