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법규&부동산

덤핑 수주(Dumping Bidding)란?

by 뺑끼민 2025. 3. 18.
728x90
반응형

덤핑 수주(Dumping Bidding)란?

덤핑 수주는 입찰에서 경쟁자를 제치기 위해 원가 이하의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여 계약을 따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주로 최저가 낙찰제가 적용되는 입찰에서 발생하며, 단기적으로는 수주를 확보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실 시공, 재정 악화, 시장 질서 왜곡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덤핑 수주의 특징

  1. 시장 가격보다 비정상적으로 낮은 가격 제시
  2. 단기적인 계약 확보 목적
  3. 장기적 문제 발생 가능성

 

🔹 덤핑 수주의 장점 (기업 입장)

✅ 단기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 경쟁사를 제치고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음
✅ 신규 거래처 확보 가능 – 낮은 가격을 무기로 새로운 고객사를 유치할 수 있음
✅ 설비 가동률 유지 – 일정 수준 이상의 생산량을 유지하여 가동 중단을 방지할 수 있음

 

🔸 덤핑 수주의 단점 및 부작용

❌ 부실 시공 및 품질 저하 위험 – 원가 이하로 수주했기 때문에 인건비 및 자재비 절감으로 품질이 낮아질 가능성이 큼
❌ 기업의 재무 악화 가능성 – 지속적으로 낮은 가격에 수주하면 결국 수익성이 악화됨
❌ 시장 질서 왜곡 – 덤핑 수주가 반복되면 업계 전체의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져 건전한 경쟁이 어려워짐
❌ 공공 프로젝트 실패 가능성 – 공공 입찰에서 덤핑 수주한 업체가 사업을 중도 포기하거나, 시공 후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음

 

🔹 덤핑 수주 방지 대책

대책 설명
저가심의제 도입 일정 수준 이하의 입찰가는 추가 심사를 거쳐 부적격 판정 가능
최저가 낙찰제 제한 기술력, 품질,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종합평가낙찰제 도입
입찰 적정성 평가 강화 입찰자의 재무 건전성 및 수행 능력을 심사하여 비현실적인 가격을 제한
정부 및 공공기관의 감시 강화 공공 조달에서 덤핑 수주 업체에 대한 제재 및 페널티 부과

 

📌 실제 사례

  1. 건설업계 – 저가로 수주한 후 원가 절감을 위해 부실 시공이 발생하여 건축물이 조기 붕괴된 사례
  2. IT 프로젝트 – 소프트웨어 개발 계약을 원가 이하로 체결한 후 기능 축소 및 개발 지연 문제가 발생한 사례
  3. 공공 조달 시장 – 국가 조달 사업에서 덤핑 수주로 인해 사업을 중도 포기하거나 품질 미달 제품을 납품한 사례

 

✅ 정리

덤핑 수주는 비정상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여 계약을 따내는 행위로, 단기적으로는 수주를 확보할 수 있지만 부실 시공, 기업 재무 악화, 시장 질서 교란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가심의제, 종합평가낙찰제, 정부 감시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