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계열사와 자회사는 모두 기업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지만, 그 정의와 구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각 용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자회사 (Subsidiary)
📌 정의 자회사는 모회사가 지분을 일정 비율 이상 보유하고 있는 독립적인 법인입니다. 일반적으로 모회사가 자회사의 경영을 지배할 수 있는 수준의 지분(보통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특징
- 모회사는 자회사의 경영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자회사는 법적으로 독립적인 회사로, 별도의 법인격을 가집니다.
- 자회사의 주주는 다른 주주들과 함께 자회사의 이익을 공유하며, 자회사는 독자적인 재무제표를 가집니다.
- 자회사는 모회사의 결정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지만, 법적으로는 독립적인 기업입니다.
📌 예시
- 대기업이 여러 개의 자회사를 두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경우.
- 예) 삼성전자의 자회사인 삼성SDI, LG전자의 자회사인 LG디스플레이 등.
2. 계열사 (Affiliate / Group Company)
📌 정의 계열사는 동일한 모회사에 소속된 회사들을 의미합니다. 즉, 한 기업 그룹 내에서 각기 다른 법인들이 협력하며 운영되는 구조를 나타냅니다. 계열사는 반드시 모회사의 지분율이 높지 않더라도 일정한 수준의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특징
- 계열사는 모회사와의 지배적 관계가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계열사들 간에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거나, 서로 협력하면서도 독립적인 경영을 할 수 있습니다.
- 계열사들 간에 지분 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모회사의 지분율이 반드시 50% 이상일 필요는 없습니다.
- 계열사는 자회사의 개념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 지배 관계가 약한 경우도 많습니다.
📌 예시
- SK 그룹에서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등이 계열사에 해당합니다.
- 삼성 그룹에서 삼성생명,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등도 계열사로 분류됩니다.
3. 계열사와 자회사의 주요 차이점
항목 | 자회사 (Subsidiary) | 계열사 (Affiliate / Group Company) |
소유 구조 | 모회사가 5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회사 | 모회사나 다른 계열사의 지분율이 낮을 수 있음 |
경영 통제 | 모회사가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침 | 독립적인 경영이 가능, 경영 통제가 약할 수 있음 |
법적 독립성 | 독립적인 법인이며, 별도의 법적 성격을 가짐 | 법적으로 독립적인 회사이지만, 같은 그룹 내에서 운영 |
재무제표 | 자회사는 별도의 재무제표를 가짐 | 계열사들도 별도의 재무제표를 가질 수 있음 |
주요 예시 | 삼성전자의 삼성SDI, LG전자의 LG디스플레이 등 | 삼성그룹의 삼성생명, SK그룹의 SK텔레콤 등 |
4. 요약
- 자회사는 모회사가 지배적인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독립적인 법인으로, 모회사의 경영 통제가 강하게 작용합니다.
- 계열사는 모회사나 다른 계열사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경영 통제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독립적인 법인으로 운영될 수 있는 회사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회사는 모회사의 지배와 통제를 받는 회사이고, 계열사는 공통된 모회사에 속해 있지만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여러 회사들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728x90
반응형
'건축-법규&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TO vs BTL 비교 (1) | 2025.03.21 |
---|---|
덤핑 수주(Dumping Bidding)란? (0) | 2025.03.18 |
건설 공사에서 "낙찰제도" 종류와 특징 (0) | 2025.03.18 |
건물 짓기 좋은 땅 고르는 팁s! (0) | 2025.03.18 |
건설 공사비 지불 방식 종류 (정액도급, 단가도급, 실비정산보수가산도급)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