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법규&부동산

PQ 제도란? (Pre-Qualification, 사전심사제도)

by 뺑끼민 2025. 3. 15.
728x90
반응형

PQ 제도란? (Pre-Qualification, 사전심사제도)

 

PQ(Pre-Qualification) 제도는 공공 건설사업이나 대형 프로젝트에서 입찰 참가자를 선정하기 전에 기술력, 재무 상태, 수행 능력 등을 평가하여 적격한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전심사제도입니다.


📌 PQ 제도의 목적

  1. 부적격 업체의 참여 제한 → 무리한 저가 입찰 방지
  2. 우수한 업체 선정 → 품질 높은 시공과 사업 성공률 향상
  3.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 경쟁력 있는 업체만 입찰 참여

📌 PQ 심사 기준 (주요 평가 요소)

PQ 심사는 일반적으로 정량적 평가정성적 평가로 나누어집니다.

평가 항목 주요 내용
1. 시공 실적 유사 프로젝트 수행 경험 및 공사 실적 평가
2. 재무 건전성 자본금, 부채비율, 신용등급 등 재무 안정성
3. 기술 능력 엔지니어링 기술력, 특허, 연구개발(R&D) 실적
4. 인적 자원 주요 기술자(건설기술자, 엔지니어 등) 보유 현황
5. 기업 신용도 금융기관의 신용 평가 등급
6. 사회적 책임 안전 관리, 환경 보호, 기업 윤리 준수 여부

PQ 심사 점수는 각 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하며, 일정 점수 이상 획득해야 입찰 참여가 가능합니다.


📌 PQ 제도의 적용 분야

  • 공공 건설사업 (도로, 철도, 항만, 발전소 등)
  •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 민간투자사업(BTO, BTL 등)
  • 국제 입찰 프로젝트

📌 PQ 심사 절차 (예시)

1️⃣ 입찰 공고 → 발주처(정부, 공기업 등)에서 PQ 심사 공고 발표
2️⃣ PQ 신청서 제출 → 업체는 재무 자료, 기술 자료 등 제출
3️⃣ PQ 평가 → 심사 기준에 따라 평가 및 점수 부여
4️⃣ PQ 통과 업체 선정 → 일정 점수 이상 업체만 입찰 자격 부여
5️⃣ 입찰 진행 → PQ 통과 업체들만 본 입찰 참여


📌 PQ 제도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부적격 업체의 무분별한 입찰 참여 방지
  • 공사 품질 향상 및 부실 공사 방지
  • 공정하고 체계적인 평가 기준 적용

단점

  • 중소기업이 입찰 참여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서류 심사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 평가 기준이 다소 주관적일 수 있음

📌 결론

PQ 제도는 대형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과 품질 보장을 위한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어, 정부는 PQ 간소화중소업체 가점 부여 등의 보완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