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법규&부동산

턴키(Turn-Key) 제도란?

by 뺑끼민 2025. 3. 17.
728x90
반응형

턴키(Turn-Key) 제도란?

턴키(Turn-Key) 방식은 발주자가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계약으로 일괄 발주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시공사가 설계부터 완공까지 책임지고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Turn the key and move in" (열쇠만 돌리면 입주 가능)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턴키 방식의 특징

1.   일괄 계약

2.   공기(공사 기간) 단축

3.   책임 시공

4.   고정 가격 계약

 

📌 턴키 방식의 장점 & 단점

구분 장점 단점
발주자(정부·공공기관) ✅ 사업 기간 단축  ✅ 예산 관리 용이  ✅ 설계·시공 간 문제 최소화 ❌ 발주자의 설계 개입 어려움 🔧 ❌ 공사비 상승 가능성
시공사 ✅ 일괄 수행으로 프로젝트 효율성 증가 📋 ✅ 설계-시공 간 조정 용이 ❌ 초기 설계 리스크 부담 증가  ❌ 예산 초과 시 시공사가 부담

 

📌 턴키 방식과 일반 방식(설계·시공 분리 발주)의 차이

구분 턴키(Turn-Key) 방식 일반(설계·시공 분리) 방식
발주 방식 설계 + 시공 일괄 발주 설계 후 시공 별도 발주
공사 기간 단축 가능 (설계·시공 동시 진행) 상대적으로 길어짐
책임 주체 시공사가 총괄 책임 설계사, 시공사 각각 책임
예산 관리 초기 확정된 계약금 시공 단계에서 변동 가능

 

📌 턴키 방식이 많이 사용되는 분야

대형 인프라 및 SOC 사업

  • 도로, 철도, 공항, 발전소 등 공공 인프라 사업

복잡한 기술이 필요한 프로젝트

  • 원자력 발전소, 플랜트, 스마트 빌딩 등

공사 기간이 중요한 프로젝트

  • 올림픽 경기장, 월드컵 경기장 등 기한이 중요한 시설

 

📌 턴키 방식의 대표 사례

  • 인천국제공항: 설계·시공 일괄 진행으로 공사 기간 단축
  • 국내 도로 및 철도 공사: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에서 활용
  • 해외 플랜트 건설: 한국 건설사들이 중동, 동남아 등에서 수행

 

📌 결론

턴키 방식은 공기 단축, 책임 시공, 예산 절감 등의 장점이 있지만, 발주자가 프로젝트 세부 사항을 조정하기 어렵고 초기 리스크가 높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특히 공공 인프라, 대형 플랜트, 고급 건축물 등의 프로젝트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 "빠르고 효율적인 공사 진행이 필요한 프로젝트" 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