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종류

by 뺑끼민 2025. 5. 12.
728x90
반응형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공법은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 시 거푸집 역할과 동시에 구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강판(철판)을 이용한 공법입니다. 데크플레이트는 시공 속도 향상, 공사비 절감, 작업 안전성 증대 등의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됩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데크플레이트 공법의 종류입니다:


1. 비합성 데크플레이트 (Non-composite Deck Plate)

  • 단순히 콘크리트 타설 시 하중을 지지하는 거푸집 역할만 수행.
  • 콘크리트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지 않음.
  • 일반적으로 별도의 철근 배근이 필요.
  • 장점: 제작 및 시공이 간단함.
  • 단점: 구조적 기여가 없음별도의 보강 철근이 필요.

2. 합성 데크플레이트 (Composite Deck Plate)

  •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구조적 강성을 함께 제공.
  • 데크에 형성된 **돌기(엠보싱)**나 형상 덕분에 콘크리트와 전단 연성이 확보됨.
  • 구조체의 인장철근 역할을 부분적으로 수행.
  • 장점: 철근량 절감, 시공성 향상, 구조강도 향상.

3. 거푸집 데크플레이트 (Form Deck Plate)

  • 거푸집 기능만 수행하는 데크.
  • 보통 얇은 강판을 사용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구조적 기여를 하지 않음.
  • 비합성 데크의 일종.
  • 용도: 구조적 하중이 적은 부위 (: 천장, 경량 슬래브 등).

4. 트러스 데크플레이트 (Truss Deck Plate)

  • 데크플레이트 위에 삼각 트러스 형태로 철근이 결합된 제품.
  • 공장에서 철근이 조립된 형태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철근 배근이 불필요.
  • 슬래브의 주철근 역할까지 수행.
  • 장점: 고강도 슬래브 구성 가능, 현장 작업량 최소화.

5. 단열 데크플레이트 (Insulated Deck Plate)

  • 데크플레이트 하부 또는 상부에 단열재를 결합한 형태.
  • 단열 효과와 구조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
  • 주로 옥상 슬래브나 외기 접촉 부위에 사용.

6. 거푸집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Permanent Formwork Deck Plate)

  • 슬래브 타설 후에도 구조체에 영구적으로 남는 거푸집.
  • 합성 혹은 비합성 방식으로 적용 가능.
  • 콘크리트의 하부 마감재 역할을 겸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