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콘크리트 혼화재(混和材)**는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특수한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시멘트 외에 추가로 넣는 분말 형태의 재료입니다. 혼동하기 쉬운 **혼화제(混和劑)**는 액상 또는 분말로 소량 첨가하는 약제(chemical admixture)이고,
**혼화재(混和材)**는 **일정 비율 이상 넣는 광물성 재료(mineral admixture)**예요.

🔍 콘크리트 혼화재란?
정의:
시멘트의 일부를 대체하거나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광물성 분말 재료
주요 목적:
- 시멘트 사용량 절감 (경제성, 탄소 저감)
-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작업성 개선
- 장기 성능 향상 (내염성, 내화학성 등)
🔨 대표적인 혼화재 종류
혼화재 종류 | 설명 | 특징 |
플라이애시 (Fly Ash) | 석탄 연소 후 발생하는 미세한 재 | 장기 강도 ↑, 수밀성 ↑, 초기강도 ↓ |
고로슬래그 미분말 (GGBFS) | 제철소에서 나오는 슬래그를 분말화 | 내화학성 ↑, 장기 강도 ↑ |
실리카 흄 (Silica Fume) | 실리콘 제련 시 발생하는 초미세 분말 | 강도 ↑↑, 수밀성 ↑↑, 가격 ↑ |
메타카올린 (Metakaolin) | 천연 점토(카올린)를 열처리한 것 | 고성능 콘크리트에 사용 |
천연 푸졸란 | 화산재나 응회암 계열 천연 광물 | 푸졸란 반응으로 장기 강도에 기여 |
💡 혼화재 vs 혼화제
구분 | 혼화재 (混和材) | 혼화제 (混和劑) |
형태 | 분말, 미분말 | 액상 또는 분말 |
투입량 | 비교적 많음 (5~70%) | 소량 (0.1~2%) |
목적 | 시멘트 대체, 내구성 강화 | 유동성, 응결시간 조절 등 |
예시 | 플라이애시, 슬래그 | 감수제, AE제, 지연제 등 |
🧱 실제 사용 예
예: 플라이애시 20% + OPC 80%로 혼합 →
경제적이며, 수밀성과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생산 가능
!
728x90
반응형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양생(Curing) 방식" 종류 (0) | 2025.04.11 |
---|---|
기초 "언더피닝(underpinning)" 공법 (0) | 2025.04.11 |
"에폭시(Epoxy)" 란? (0) | 2025.04.08 |
콘크리트 혼화 재료: AE란? (0) | 2025.04.06 |
시스템 거푸집 비교 (갱폼, 클라이밍폼, ACS)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