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

기초 "언더피닝(underpinning)" 공법

by 뺑끼민 2025. 4. 11.
728x90
반응형

기초 언더피닝(underpinning) 공법은 기존 건축물의 기초를 보강하거나 하부에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기존 건물의 기초가 약하거나 침하된 경우
  • 인접 건축 공사로 인해 구조물이 영향을 받을 경우
  • 지하층을 추가하거나 기초 하부를 확장해야 할 때
  • 주변 지반 조건이 변화한 경우

0.주요 언더피닝 공법 종류

  1. 피트 언더피닝 (Pit Underpinning)
  2. 마이크로파일 언더피닝 (Micropile Underpinning)
  3. 제트 그라우팅 (Jet Grouting)
  4. 침투 그라우팅 (Permeation Grouting)
  5. 침하 보정용 언더피닝 (Underpinning for Settlement Correction)
  6. 침목(Pile and Beam) 방식

언더피닝 공법 시공 시에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주변 환경 보호를 위해 꼼꼼한 계획과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시공 시 반드시 유의해야 할 주요 사항들입니다:

 

1. 사전 조사 및 설계

·         기존 기초 구조 확인: 도면 및 탐사(코어링, 지반조사 등)를 통해 기초 형상 및 깊이 파악

·         지반조사: 지층 특성(지지력, 침하 가능성, 수위 등)을 정확히 파악

·         하중 분석: 기존 구조물의 하중 및 하중 재분포 계획 수립

·         공법 적합성 검토: 현장 조건(공간, 진동 허용, 소음 제한 등)에 맞는 공법 선정

 

 2. 시공 단계 유의사항

🔹 작업 순서 및 구획 관리

·         작업 구간을 나누어 시공 (alternate bay 방식)
→ 모든 지점을 동시에 파면 구조 불안정 발생 위험

·         한 구획 시공 후 충분히 양생한 뒤 다음 구획 작업

🔹 구조물 안정성 유지

·         가설 지지대 설치 (Temporary Shoring)
→ 시공 중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임시 구조물 설치

·         지지 구조 보강 전, 구조물 변위 계측 시스템 설치
→ 변형이나 침하 발생 시 즉시 대응 가능

🔹 진동·소음 최소화

·         특히 도심지/인접 구조물 존재 시, 진동을 최소화하는 비진동공법 사용 권장
(예: 마이크로파일, 제트 그라우팅 등)

🔹 지하수 처리

·         수위가 높은 지반에서는 배수 또는 우물정 펌핑 등의 지하수 처리 필수
→ 물로 인한 토사 유실 방지

 

3. 계측 및 모니터링

·         계측 장비 설치: 구조물의 수직·수평 변위, 지반 침하, 균열 확대 등 감시

·         실시간 모니터링 및 기록 유지
→ 기준치 초과 시 즉시 공사 중지 및 대책 수립

 

4. 안전관리

·         협소 공간 작업 시 환기 및 산소 농도 확인 필수

·         작업자 추락 및 붕괴 방지 조치

·         정전기, 기계 오작동 등 안전교육 철저히 이행

 

 5. 관련 법규 및 허가

·         지자체 신고 및 건축법 관련 규정 준수

·         문화재 지역 또는 도심지일 경우, 별도 허가 및 보호 조치 필요

 

728x90
반응형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균열의 종류 & 비교  (0) 2025.04.11
콘크리트 "양생(Curing) 방식" 종류  (0) 2025.04.11
콘크리트 혼화제 vs 혼화재  (0) 2025.04.10
"에폭시(Epoxy)" 란?  (0) 2025.04.08
콘크리트 혼화 재료: AE란?  (0)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