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

콘크리트 균열의 종류 & 비교

by 뺑끼민 2025. 4. 11.
728x90
반응형


소성수축균열건조수축균열은 모두 수분 손실로 인한 균열이지만, 발생 시점과 원인, 위치, 형태 등이 다릅니다. 아래에 비교표로 핵심 차이점을 정리 해드릴게요 

concrete plastic shrinkage

 

concrete drying shrinkage

🔍 소성수축균열 vs 건조수축균열 비교

구분 소성수축균열 (Plastic Shrinkage Cracks) 건조수축균열 (Drying Shrinkage Cracks)
발생 시기 콘크리트 응결 전 (타설 후 수 시간 이내) 콘크리트가 굳은 후 수일 ~ 수개월 경과 후
주 원인 표면 수분 증발 > 블리딩수분 부족에 의한 급격한 표면 수축 장기적인 수분 증발에 따른 콘크리트 전체 체적 수축
발생 위치 주로 표면부 (바닥, 슬래브 등) 구조체 전체 또는 건·구조물의 연결부, 응력 집중부
균열 모양 얕고 거미줄 모양의 불규칙한 균열 깊고 일정한 방향성의 직선형 균열이 많음
깊이 보통 5~20mm, 표면 국한 깊게 침투, 경우에 따라 철근까지 도달
균열폭 초기에는 작지만 눈에 띔 (0.1~0.3mm) 점차 확대 가능 (0.3mm 이상)
영향 주로 내구성 및 미관 저하, 철근 부식 유발 가능 장기적인 구조 안정성 및 내구성 문제 유발
예방 방법 조기 양생, 기상 환경 관리, 블리딩 균형 유지 적절한 신축줄눈 설치, 수축보강근 배치, 양생 기간 확보
보수 필요성 심하지 않으면 보수 없이 양생만으로도 가능 보수 필요성이 높음 (균열 보수재 주입 등)

 

쉽게 정리하면:

  • 소성수축균열은 콘크리트가 아직 말랑말랑할 때 생기고,
  • 건조수축균열굳은 후 천천히 마르면서 생기는 균열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