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압수(被壓水, pore water 또는 confined groundwater)는 지하수의 일종으로, 지반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갇혀 있는 물을 말합니다. 피압수는 보통 단단한 암반층이나 불투수층에 의해 제한된 공간에 갇혀 있으며, 이 물은 일반적으로 자유수면수(지표에서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지하수)와는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

피압수의 주요 특징
압력 상태
-피압수는 불투수층이나 밀봉된 암반층 사이에 갇혀 있기 때문에 압력이 높고 자주 다른 지하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압력수"**라고도 부르며, 이 물은 일반적으로 배수로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뚫거나 건설을 위해 구멍을 내면 수압이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위치
-보통 심층 지반에서 발견되며, 표면에서의 자유수면수와 구별됩니다.
-피압수는 불투수층 또는 반투수층 사이에 갇혀 있으며, 위에서 압력이 가해진 상태입니다.
운동
-피압수는 일정한 수압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압력 차이가 있을 때 이동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표면수와 달리 자유롭게 흐르지는 않으며, 압력을 벗어나면 분출하거나 폭발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시공과 관련된 위험
-건설 현장에서 피압수를 접하게 될 경우, 예기치 않게 지하수가 분출되거나 압력에 의해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터널 공사나 기초 공사 시 피압수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으면 지반 붕괴나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피압수의 영향
-지반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물이 터져 나오거나 지반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지하수 흐름이나 지반 개량 공법 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약액 주입이나 드레인 작업 등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됩니다.
피압수와 자유수면수의 차이점
구분 | 피압수 | 자유수면수 |
위치 | 불투수층 사이, 깊은 지층 | 자유롭게 흐름, 수위가 일정 |
압력 | 높은 압력 상태에서 갇힘 | 수압이 없거나 일정한 수위에서 유동 |
배수 방식 | 주로 압력에 의해 이동 | 중력에 의해 이동 |
특징 | 구조물 안전에 중요한 영향 미침 | 배수와 관련된 간단한 흐름 |
결론
피압수는 높은 압력을 가진 지하수로, 건설 및 지반 개량 공사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피압수의 존재와 압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지하수 분출이나 지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작업이 중요합니다.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 기초 부동 침하의 원인 & 대책 (0) | 2025.03.31 |
---|---|
주면마찰력(Skin Friction)이란? (말뚝박기) (0) | 2025.03.28 |
배수 공법 비교 (중력배수, 강제배수, 영구배수) (0) | 2025.03.20 |
지반조사방법 중 "보링"과 "사운딩"의 차이점 (0) | 2025.03.20 |
건설 직종별 (노가다) 일당 비교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