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면마찰력(Skin Friction)이란?
주면마찰력(Skin Friction)은 말뚝 표면과 주변 지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의미합니다.
1. 주면마찰력의 개념
- 말뚝이 지반에 설치될 때, 말뚝의 측면과 지반이 맞닿아 저항력이 발생합니다.
- 이 저항력은 말뚝이 하중을 견디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말뚝의 전체 지지력(Q)**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말뚝의 전체 지지력은 선단지지력(Qp)과 주면마찰력(Qs)의 합으로 표현됩니다.
Q=Qs+QpQ = Q_s + Q_p
- QsQ_s (주면마찰력) : 말뚝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 QpQ_p (선단지지력) : 말뚝 끝 단에서 발생하는 지지력
2. 주면마찰력의 발생 원리
주면마찰력은 다음 두 가지 기작에 의해 발생합니다.
- 점착력(Cohesion) 기반 마찰
- 내부 마찰 기반 마찰
3. 주면마찰력의 계산 방법
주면마찰력은 말뚝의 표면적과 지반의 전단강도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Qs=∑(fs⋅As)Q_s = \sum (f_s \cdot A_s)
- QsQ_s : 주면마찰력 (Skin friction capacity)
- fsf_s : 단위 면적당 주면마찰력 (Unit skin friction)
- AsA_s : 말뚝의 측면 면적 (Surface area of the pile)
(1) 점토 지반에서의 주면마찰력
점토 지반에서는 주면마찰력이 점착력(c)과 관련이 있습니다.
fs=α⋅cf_s = \alpha \cdot c
- α\alpha : 경험적 계수 (보통 0.3~1.0)
- cc : 점토의 점착력 (Cohesion)
(2) 사질토 지반에서의 주면마찰력
사질토에서는 주면마찰력이 유효응력과 내부마찰각(φ)에 의해 결정됩니다.
fs=K⋅σ′⋅tanδf_s = K \cdot \sigma' \cdot \tan \delta
- KK : 측압 계수 (Earth pressure coefficient)
- σ′\sigma' : 유효 수직응력 (Effective vertical stress)
- δ\delta : 말뚝과 지반 사이의 마찰각 (Interface friction angle)
4. 주면마찰력과 말뚝의 종류
말뚝의 지지 방식에 따라 주면마찰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달라집니다.
말뚝 종류 | 주면마찰력의 역할 |
마찰말뚝 (Friction Pile) | 주면마찰력이 주요 지지력을 담당 (선단지지력 거의 없음) |
지지말뚝 (End-bearing Pile) | 주로 선단지지력에 의해 하중을 지지 (주면마찰력은 보조적 역할) |
복합말뚝 (Combination Pile) |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이 함께 작용 |
5. 주면마찰력 감소 현상 (Negative Skin Friction)
때때로 주면마찰력이 말뚝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음의 주면마찰력(Negative Skin Friction)"**이라 합니다.
(1) 발생 원인
- 말뚝 주변의 연약한 지반이 추가 침하할 때
- 성토 후 압밀 침하가 진행될 때
- 지하수위 저하로 인한 압밀이 발생할 때
(2) 영향
- 말뚝에 추가 하중을 가해 설계 지지력을 감소시킴
-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설계 시 이를 고려해야 함
6. 결론
- 주면마찰력은 말뚝의 표면과 지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말뚝의 전체 지지력에 큰 영향을 줌.
- 말뚝이 점토 지반에 설치되면 점착력(c)이 중요하고, 모래 지반에서는 내부 마찰각(φ)이 중요한 요소.
- 마찰말뚝에서는 주면마찰력이 주요 지지력 역할을 하며, 지지말뚝에서는 보조적 역할.
- 음의 주면마찰력(네거티브 마찰력)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할 수도 있음.
실제 설계 시에는 지반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험적 계수와 실험값을 적용하여 정확한 주면마찰력을 산정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빙(Heeving), 보일링(Boiling), 파이핑(Piping) 현상 비교! (0) | 2025.04.02 |
---|---|
건물 기초 부동 침하의 원인 & 대책 (0) | 2025.03.31 |
피압수(被壓水) 란? (0) | 2025.03.20 |
배수 공법 비교 (중력배수, 강제배수, 영구배수) (0) | 2025.03.20 |
지반조사방법 중 "보링"과 "사운딩"의 차이점 (0) | 2025.03.20 |